입양제도는 보호가 필요한 아동들에게 새로운 가정을 찾아주고, 그 가정에서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, 아동의 정신적ㆍ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제도입니다.
입양은 양부모가 되려는 사람과 양자가 될 사람 사이에 합의가 있거나, 가정법원의 허가를 얻은 후에 입양신고를 함으로써 그 효력이 발생하며, 입양신고로 양부모와 양자 사이에는 법적 친자관계가 생기고, 부양이나 상속 등에서 자연혈족의 경우와 동일한 권리가 인정됩니다.
국내ㆍ외 입양을 모두 담당하는 기관에는 대한사회복지회, 동방사회복지회, 한국사회봉사회, 홀트아동복지회 등 총 4곳의 입양기관이 있으며, 국내 입양을 담당하는 입양기관은 전국적으로 총 18곳이 있습니다.
입양은 양부모가 되려는 사람과 양자가 될 사람 사이에 합의가 있거나, 가정법원의 허가를 얻은 후에 입양신고를 함으로써 그 효력이 발생하며, 입양신고로 양부모와 양자 사이에는 법적 친자관계가 생기고, 부양이나 상속 등에서 자연혈족의 경우와 동일한 권리가 인정됩니다.
국내ㆍ외 입양을 모두 담당하는 기관에는 대한사회복지회, 동방사회복지회, 한국사회봉사회, 홀트아동복지회 등 총 4곳의 입양기관이 있으며, 국내 입양을 담당하는 입양기관은 전국적으로 총 18곳이 있습니다.
구분
|
일반양자
|
친양자
|
기관입양
|
국제입양
|
근거
| ||||
성립요건
|
협의로 성립
|
재판으로 성립
|
가정법원의 허가
|
양친이 될 사람의 본국법에서 정하고 있는 실질적 요건 충족
|
양자의 성·본
|
친생부모의 성과 본을 유지
|
양친의 성과 본으로 변경
|
양친의 성과 본으로 변경
|
부모와 자녀의 본국법이 같은 경우에는 그 법에 따르고, 그 외의 경우에는 자녀의 상거소지법에 따름
|
친생부모와의 관계
|
유지
|
종료
|
종료
|
부모와 자녀의 본국법이 같은 경우에는 그 법에 따르고, 그 외의 경우에는 자녀의 상거소지법에 따름
|
입양의 효력
|
입양한 때부터 혼인 중의 자로서의 신분을 취득하나, 친생부모와의 관계는 친권 이외는 유지됨
|
재판이 확정된 때부터 혼인 중의 자로서의 신분을 취득하며, 친생부모와의 관계는 종료됨
|
재판이 확정된 때부터 혼인 중의 자로서의 신분을 취득하며, 친생부모와의 관계는 종료됨
|
양친의 본국법에 따르게 되므로, 친자관계가 발생함
|
- 일반양자는 친생부모의 친자녀로서의 지위와 양부모의 양자로서의 지위를 모두 갖게 됩니다.
· 친생부모와의 관계는 친권 이외에는 유지되므로 입양이 된 이후에도 친생부모의 성과 본을 그대로 유지합니다.
- 친양자는 입양이 되면 양부모의 완전한 친자녀와 같이 되는 양자를 말합니다.
· 친양자는 재판을 통해 성립하며, 재판이 확정되면 양부모의 혼인 중에 태어난 자녀가 되므로 양자는 양친의 성과 본을 따르게 되며, 친생부모와의 관계는 종료됩니다.
- 국제적으로 이루어지는 입양에는 「국제사법」에서 정한 입양의 준거법에 따른 입양(이하 “국제입양”이라 함)이 있습니다.
- 국제입양이란 한국에서의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의 입양 또는 외국인과 외국인 사이의 입양, 외국에서의 한국인 사이의 입양 또는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의 입양 등과 같이 외국적 요소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.
· 「입양특례법」에 따른 입양 중 국외입양도 외국인이 국내 또는 외국에서 한국인 양자를 입양하려는 것이므로 국제입양의 일종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입양 당사자의 자격 등 입양의 요건과 절차 등에 대한 특례를 두고 있습니다.
- 2012년 10월 현재, 보건복지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국내·외 입양기관은 4곳으로, 이곳에서 국내입양과 국외입양을 알선하고 있습니다[「2013년 아동분야 사업안내」(보건복지부 지침, 2013. 1.) 54쪽참조].
기관명
|
주소
|
홈페이지
|
전화번호
|
대한사회복지회
|
서울 강남구 역삼동 718-35
|
02-552-7420
| |
동방사회복지회
|
서울시 서대문구 창천동 493
|
02-332-3941
| |
한국사회봉사회
|
서울시 도봉구 쌍문동 533-3
|
02-908-9191
| |
홀트아동복지회
|
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382-14
|
02-331-7000
|
- 2012년 9월 기준, 시·도지사의 허가를 받은 국내입양기관은 전국적으로 18곳이 있으며, 이곳에서는 국내입양을 알선하고 있습니다[「2013년 아동분야 사업안내」(보건복지부 지침, 2013. 1.) 54쪽 참조].
기관명
|
주소
|
홈페이지
|
전화번호
|
성가정입양원
|
서울 성북구 성북2동 산 9-15
|
02-764-4741~3
| |
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
|
서울 강남구 대모산 2로 16
|
1577-1391
| |
부산광역시아동보호종합센터
|
부산 서구 아미동 2가 125
|
051-240-6300
| |
부산아동상담소(동방)
|
부산 중구 대창동 1가 23
|
051-469-5586
| |
대구광역시 아동복지센터
|
대구 남구 봉덕2동 920
|
053-473-3771~3
| |
해성보육원
|
인천 남구 용현4동 183-6
|
032-875-3240
| |
광주영아일시보호소(대한)
|
광주 동구 소태동 446-3
|
062-222-1095
| |
늘사랑아동가족복지센터
|
대전 중구 옥계동 124-3
|
042-637-0061
| |
울산양육원
|
울산 울주군 언양읍 송대리 15
|
052-277-5636
| |
동방안양상담소
|
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2동 570-9
|
031-442-7750
| |
대한사회복지회 경기지부(의정부 아동상담소)
|
경기도 의정부시 녹양동 318-5
|
031-877-2849
| |
강릉자비원
|
강릉시 포남 1동 1156
|
033-642-3555
| |
꽃동네
|
충북 음성군 맹동면 꽃동네길 47-93번지
|
043-879-0100~3
| |
홍성사회복지관(한국)
|
충남 홍성군 홍성읍 조앙로 75번길 17
|
041-632-2007~8
| |
전주영아원(홀트)
|
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 2가 623-2
|
063-222-1559
| |
이화영아원(대한)
|
전남 전주시 보산동 127-1
|
061-332-1964
| |
임마뉴엘영육아원
|
경북 김천시 교동 591
|
054-434-2821
| |
홍익아동복지센터
|
제주시 화삼로 145번지
|
064-755-0843~4
|